top of page

[우트나 무예측 프로젝트] 그래, 우리는 아직 여기에 있다 : 오거리 방앗간


그래, 우리는 아직 여기에 있다.

We Still Here.

21년도 여름, 광주시청에서 진행하는 #청년드림수당 및 활동지원사업으로

우트나에 새로운 친구가 6개월동안 함께 하게되었다.

실명을 언급하는 것은 당사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니

해당 프로젝트에서 거론될 이 친구 이름을 너트(Nut)라고 표현 하는 것이 좋겠다.

사무실에서 너트가 맡은 업무는 간단한 보조업무였으나,

너트가 디자인 업무를 바로 시작하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었고,

직접적으로 고객과 커뮤니케이션 하는 일 역시 일련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에 의미를 둔다면 좋은 방법이었지만

본인이 하는 일에 #성취감 을 느끼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었다.

너트는 우리와 꽤 자주 #인터뷰 를 하곤 했다.

인터뷰 과정에서 너트의 장점인 글재주를 알아본 문팀장은

너트가 사무실에서 함께 시간을 보내는 6개월이 작은 #성장의기회가 되면 좋겠다고 생각하셨다.


개인의 성장에 관련성이 적은 업무보다, 스스로 좋아하는 것을

일로서 풀어보는 #경험 을 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시도를 많이 하셨다.

 

무예측 프로젝트

unexpected project


너트가 #브런치 에 게시했던 글을 사무실 식구들끼리 읽었던 적이 있다. 모두가 담백하게 써내려간 글에 공감하고, 누군가는 감탄을 하기도 했다. 너트의 글은 솔직한 맛이 있었고, 이런 형식의 글은 에세이에 어울렸다. 문팀장은 너트와 #단기프로젝트 팀을 꾸리고 곧바로 실행버튼을 눌렀다. 그렇게 우트나의 #무예측프로젝트 가 시작되었다. #오거리방앗간 문팀장은 너트에게 종종 들었던 할머니의 방앗간 이야기를 떠올렸다. 너트의 지난 삶은 또래의 여느 친구들처럼 평범하지만은 않았다. 어린 나이에 꽤나 힘들었을 법 한 삶이었지만 너트는 늘 담담하고 묵묵했다. 밝고 쾌활한 친구가 올 것이라고 예측했던 우리도 그런 생각이 편견이라는 것을 깨달았다. 너트의 그 묵직한 감성이 어색하지만은 않았다. 그리고 측은한 마음은 더더욱 들지 않았다. 너트의 모습은 마치 잘 다져져 굳건해진 모습이었기에 우리도 그의 지나온 시간들에 대해 다시금 언급하지 않았다.

우리는 너트가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시간들을 들어보고싶었다.

과거의 너트가 아닌 현재의 너트가 바라보는 할머니의 방앗간에 대해 이야기를 써보자고 제안했다.

​'그래, 아직 우리는 여기에 있다' 는 너트가 할머니의 '오거리 방앗간'을 주제로 글을 쓰고,

편집 과정을 거쳐 #독립출판물 로서 결과물을 보는 것이 목표인 프로젝트였다.

너트는 퇴근 후 할머니와 #인터뷰 를 진행하고, 자신만의 스타일로 오거리 방앗간에 대한 #추억#공감 을 불러일으키는 #에세이 를 작성했다.

예전에는 장사가 잘 되어 바빴지만 지금은 손님도 없고 추억의 먼지가 쌓여가는 방앗간에 대한 할머니의 회상과,

너트가 직접 겪었던 방앗간 관련 에피소드로 구성된 에세이였다.

글의 초고가 완성되고, 수정 과정을 거져 #편집 작업에 들어갔다.

 

인자는 해달라고 하는 사람도 없고 안할라고 생각하고 있은께, 늙었은께 문 닫을거야.

No one is asking me to do it now and I'm thinking I won't, so I'm going to close the door because I'm old.

오거리방앗간 현장 이미지


할머니의 구수한 #사투리 그대로 적힌 서브 타이틀은 정겨운 분위기를 형성하고

오거리 방앗간과 근처 동네의 향수 가득한 사진들이 글과 함께 실리니 어엿한 책의 형태를 띄게 되었다.

표지에 필요했던 #삽화 는 디자이너가 펜과 마카를 사용해 #핸드드로잉 으로 직접 그려 사용했다.

표지에 사진이 아닌 일러스트를 사용한 이유는 글의 분위기와

오거리 방앗간이라는 타이틀이 주는 느낌을 부각시킬 수 있는 수단이었기 때문이다.


오거리방앗간 일러스트레이션


일련의 과정을 거쳐 '그래, 아직 우리는 여기에 있다' 가 완성되었다.

완성된 책은 너트가 쓴 글로 처음 만들어진 책이다.

이러한 경험이 너트가 우리와 함께한 6개월 중 유의미한 사건으로 기록된다면

그것으로 된 것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.


오거리 방앗간은 오늘도 존재한다.

미래를 예측할 필요는 없다.

지금의 존재를 인식하면 그만이다.







Comments


PORTFLIO

bottom of page